메뉴

서울시, 소상공인ㆍ소기업에 1조5000억원 저금리 융자 푼다 


 
서울시가 소상공인에게 연 2~2.5% 저리 자금을 융자하는 ‘서울시 중소기업 육성자금’을 내년 1조5000억원 규모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올해 규모는 1조150억원이었다. 
 
자금은 서울시중소기업육성기금 직접융자금 2500억원, 시중은행협력자금 1조2500억원으로 구성돼 있다. 시중은행협력자금이란, 시중은행의 자금을 활용하여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들에게 융자하되, 대출이자 일부(1~2.5%)를 서울시가 중소기업육성기금을 통해 지원하는 방식이다. 
 
서울시는 미국 및 국내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시중은행 대출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직접융자금의 대출금리를 2.0~2.5%, 시중은행협력자금의 이자 보전율을 1.0~2.5%로 유지하기로 했다. 
 
우선 서울시는 생계형영세자영업자(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매출급감ㆍ임대료 급등으로 어려움을 격는 소상공인에게 2% 저금리로 제공하는 긴급자영업자금을 1300억원, 소상공인 경영안정을 위한 일반 운영자금 성격인 성장기반자금(직접융자), 경제활성화자금(협력자금)을 1조1340억원 지원한다. 
 
창업자금은 ①기술형창업기업자금(200억원) ②창업기업자금(1000억원) 크게 두 가지로 운영된다. 창업기업자금은 생계형업종의 과밀창업 억제 및 준비된 창업을 유도하기 위해 창업컨설팅 이수 기업에 대해서만 지원하는 컨설팅기반창업자금 400억원과 일반창업자금 600억원으로 구분해 운영한다. 컨설팅기반창업자금은 창업교육기관의 창업교육을 받고 서울시자영업지원센터에서 1단계(창업 전) 및 2단계(창업 후) 컨설팅을 이수한 업체에 한해 지원하는 자금으로 일반창업자금 보다 융자한도를 2000만원 높은 5000만원까지 지원한다. 
 
그 외에도 서울시는 일자리창출우수기업자금을 300억원 지원(200억 증액)하고 기존 40억원 규모로 운영해온 사회적기업자금과 여성고용우수기업자금을 100억으로 증액하고 지원대상도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까지 확대한다. 
 
또한 서울시는 제도권 금융을 이용하기 어려운 저신용 영세자영업자들의 경제적 자립기반을 지원하기 위해 운용 중인 ‘서울형 마이크로크레딧’으로 60억원을 무담보 저금리(1.8%)로 지원한다. 

자금지원과 신용보증은 서울신용보증재단 영업점 17곳에서 방문 신청 가능하다.  
 
조인동 서울시 경제진흥본부장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자금으로 인한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2019년도 중소기업육성자금의 규모는 대폭 확대하고 대출금리는 동결한다”며 “자금이 필요한 곳에 적기 지원되어 경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자금운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PHOTO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