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서울환경연합, 종량제 30주년 포럼 열어

서울환경연합이 지난 16일 녹색서울시민위원회와 ‘제3회 종량제 30주년 포럼’을 열었다.

최근 연합에 따르면, 이번 세미나는 재활용 가능 자원과 분리배출 취약품목의 문제점을 짚고, 행정적 과제와 시민이 체감하는 개선 요구를 공유해 현실적인 정책 대안을 모색하는 자리다. 이날 행사에서 박세원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은 “서울시 생활폐기물 내 종량제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나 재활용 가능 자원의 분리배출량은 반대로 감소하는 추세”라며 “특히 종량제 폐기물 내 발견되는 재활용 가능한 폐플라스틱은 9%에서 32%로 폭증해 서울시와 환경부의 대응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또 오현주 마포자원순환넷 공동대표는 “서울시는 주민부담률 현실화의 경우, 시민에게 재활용 책임을 떠넘기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며 없이 재활용 가능 자원을 제대로 확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오 대표는 “폐기물 관리에 책임이 있는 지자체가 책임을 다하도록 주민감시요원과 주민지원협의체 역할을 바로 세우고, 성상검사 강화 및 자치구별 반입량 관리제의 확대와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영훈 강북구청 재활용운영팀장은 “주민 인식 개선과 함께 폐비닐ㆍ종이팩ㆍ투명페트 등 주요 품목별 수거를 강화하고 무인회수기 설치를 확대해 수거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제안을 꺼냈다. 그는 자원순환센터 기능을 강화하고, 민간업체와 협력하여 선별 및 재활용을 고도화, 그리고 재활용률과 회수율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등의 성과관리를 강조했다.

조명환 서울시 재활용기획팀장은 “서울시는 재활용 확대를 위해 폐비닐 분리배출 활성화, 재활용정거장 확대, 선별장 현대화, 종이팩 및 폐현수막 별도 수거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종량제 봉투에 대한 부담률 상향에 대한 논의도 필요한 시점”이라며 실행력 있는 대안 마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우먼스플라워 박종미



PHOTO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