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열 곳 중 일곱 곳은 여름철 반바지 등 복장 자율화에 긍정적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8일 사람인에 따르면, 설문조사에 응한 기업 492곳 중 67.1%(330개사)가 여름철 복장 자율화에 긍정적이라는 답을 했다고 한다. 복장 자율화에 긍정적인 이유(복수응답)로는 복장이 업무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서(71.2%)라는 답이 가장 높게 나왔다. 그 외에 직원들의 만족도를 높일 것 같아서(51.8%), 업무 효율이 높아질 것 같아서(30%), 수평적이고 유연한 조직문화가 형성될 것 같아서(22.4%), 개성을 중시하는 트렌드에 부합하는 것이어서(16.7%) 등이 나왔다.
하지만 162개사는 복장 자율화를 부정적으로 생각했다. 그 이유(복수응답)로는 복장에 격식이 필요한 직무, 업종도 있어서(54.9%), 상호간의 예의가 아닌 것 같아서(38.3%), 부적절한 복장 착용자 발생 및 관련한 직원간 갈등이 생길 것 같아서(22.8%) 등이 꼽혔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반바지에 샌들을 착용하고 출근할 수 있는 완전 자율 복장 기업은 응답 기업의 26%로 나타났다. 라운드넥 티, 청바지 등 일상복을 허용하는 수준이 43.5%로 가장 많았고, 노타이 셔츠 등 비즈니스 캐주얼룩을 입는 기업이 25.2%였다. 정장 및 유니폼을 착용하는 기업은 5.3%로 나타났다.
우먼스플라워 박혁 기자